대학수학
공학 분야의 전공 학문을 학습함에 있어 필요한 수학적 기본 개념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며, 창의성과 응용성을 갖춘 수학적 사고를 심어주고자 한다. 교육내용은 일 변수 함수들의 극한, 미분, 적분을 공부하며, 이들을 이용한 응용문제를 해결한다.
공학수학
미분방정식 해법 및 라플라스 변환을 배우고 복소수 해석 등의 기본 원리를 학습한다. 공학수학이 전기전자 분야에 적용되는 사례 및 응용에 대해 공부한다.
물리학의 이해
전공을 충실히 이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초를 제공하는 내용으로 뉴튼 역학, 강체의 공간 운동, 유체 역학, 진동 및 파동 등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을 기른다
컴퓨터공학개론
컴퓨터를 전공하고자 하는 입문강좌로써 컴퓨터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 컴퓨터 시스템의 H/W, S/W 입출력 원리, 구성원리, 동작원리, 네트워크, 응용 및 미래 IT 기술동향 등을 연구 학습한다.
전기전자개론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하는 공학도의 입문과정으로 전기전자공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주제들을 소개하고 전기전자공학의 기초 원리 및 응용에 대해서 다룬다. 강의 내용은 전기 회로, 자기 및 응용, 전자회로, 반도체 그리고 자동제어 부분으로 구성된다.
파이썬프로그래밍
본 강의는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초 문법 및 파이썬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 즉 리스트, 딕셔너리, 클래스 등의 개념과 사용법을 배운다. 이를 활용하여 주어진 공학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프로그래밍 스킬을 계발한다.
프로그래밍입문
프로그래밍언어를 이용 기초적인 작성능력을 배양하며 컴퓨터프로그래밍 방법을 실습을 통하여 배운다. 컴퓨터공학 각 분야의 기본적인 개념원리와 활용기술을 섭렵하고, C언어 및 플로어, 처리방법 언어변천사와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과 업무에 적용하는 방법 등을 습득하게 한다.
웹프로그래밍
웹을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기법을 배운다.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원리를 배우고, 특정 콘텐츠를 가진 홈페이지를 구축하여 정보 가공 및 표현 능력을 높인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윈도우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POJO, JavaFx, Java Beans, JDBC, Java Network Programming 등 각종 Java 클래스 및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Java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함으로써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현할 할 수 있도록 한다.
유닉스개론
다양한 서버와 많은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는 유닉스 및 리눅스의 이용 및 활용을 위해 명령 기반의 유닉스 기반 운영체제를 배운다. 쉘상에서의 명령어 활용, 텍스트 문장 편집기를 이용한 문서 작성 방법 등을 배우고, 시스템 관리 기능을 위한 이용자 관리, 디스크 관리, 응용 프로그램 관리, 네트워크 설정 방법, 프로그램 개발 방법 등을 다룬다.
자료구조와알고리즘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알고리즘의 예와 대표적인 응용 분야에 적용되는 알고리즘의 기능과 처리과정을 학습하고, 알고리즘의 난해도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기법을 익힌다.
신호및시스템
전기전자공학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신호와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목표로 연속 및 이산 시간 신호의 개념, 신호 및 시스템의 수학적 표현과 특성, 컨볼루션 이론, 푸리에 급수 및 변환 등의 주제를 다룬다.
인공지능과머신러닝
전통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베이지안 추론, SVM 등을 학습하고 뉴럴네트워크의 기초를 이해한다.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주어진 데이터를 대상으로 회귀, 분류 등의 문제를 푸는 방법을 이해한다.
디지털논리회로
컴퓨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법, 디지털 회로의 기본 구성인 조합논리회로와 메모리 소자인 플립플롭을 활용한 순차회로의 기능과 구성을 학습한다. 본 과목을 통한 기초적 디지털 회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컴퓨터 구조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공부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생 스스로 디지털 회로를 구성하고 응용 제품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형대수
선형대수학에서는 공학에서 사용되는 벡터, 행렬과 다차원 공간의 수학적 이론을 학습한다. 인공지능, 신호처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컴퓨터 공학 분야의 기초가 되는 수학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복잡한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분석하고, 해석하는 원리를 배운다.
회로이론
회로이론은 선형소자에 대한 전압-전류 특성을 이해하고 회로에서의 기본법칙 및 회로해석법을 익히며 회로망 정리에 관한 정의 및 적용 방법과 등가 회로의 개념, 유도결합 회로에 의한 해석법을 학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C프로그래밍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ATmega128 또는 ARM 프로세서를 위한 펌웨어를 C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구체적으로 펌웨어를 이용하여 메모리, 타이머, UART, 인터럽트 등을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컴퓨터 구조
디지털 논리회로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컴퓨터를 구성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ALU, 명령어 구조 등 컴퓨터 내부 연산 구조를 공부한다. 디지털 논리회로의 설계 방법으로서 그 비중이 높아져가고 있는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간단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설계하며, 이를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이용해서 구현한다. 본 과목을 통하여 고학년에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임베디드 시스템의 활용을 위한 기초 지식을 갖춘다.
임베디드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임베디드 운영체제를 이해하고, 가장 일반적인 리눅스 환경 아래에서 임베디드소프트웨어를 개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데이터베이스와 빅데이터
다양한 정형 및 비정형 자료를 효과적으로 저장 및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원리 등을 배우고, 기술의 발전과 함께 방대한 양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그 의미를 추출해낼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관련 기술 및 응용 방안을 다룬다.
운영체제
컴퓨터 시스템에서 운영체제의 필요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CPU 스케줄링,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저장장치 관리 등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의 효율적 설계를 위한 원리 및 알고리즘 등을 학습함으로써, 운영체제 설계 능력을 배양한다.
모바일웹개발
휴대용 기기에서 작동되는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방법을 배운다. 낮은 메모리 용량, 적은 CPU 성능 등 휴대용 기기의 특성에 맞는 환경에서 안드로이드나 IoS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 API를 이용한 앱의 개발 및 활용 방법을 배운다.
통신공학
신호와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아날로그 변복조, 샘플링을 통한 펄스 변복조, 그리고 디지털 변복조 방식들을 학습하여 아날로그 및 디지털 통신시스템 개념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이동통신시스템
디지털 통신의 변복조 방식을 바탕으로 무선채널, 오류정정부호, 등화기, CDMA, OFDM, MIMO 전송방식 등의 최신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송수신 방식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컴퓨터네트워크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신의 기본 원리를 배운다. 유무선 네트워크, 5G, IoT 등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와, TCP/IP를 근간으로 하는 인터넷의 구조와 동작, 서비스와 활용 등을 배운다.
보안과암호학
여러 정보보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보호 이론 및 기술을 배운다. 정보보호의 기본 이론부터 응용기술까지 암호 시스템, 해시함수, 난수, 암호프로토콜, 블록체인 등을 포함하는 암호이론과 전자서명, 공개키 기반구조, 정보보안 응용 등 정보보호 이론과 컴퓨터 및 네트워크의 감시, 침입탐지, 방화벽 등의 보안 응용 기술을 다룬다.
컴퓨터비젼
본 교과목에서는 컴퓨터비전을 소개하고 영상처리와 영상이해를 다룬다. 학습 주제는 영상의 구성, 영상처리 기본, 특징추출, 정합, 객체검출 및 추적, 인식 등이다.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다층신경망(딥러닝)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이론을 소개한다.
반도체공학
다양한 반도체 물질과 도핑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PN접합 등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학습한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와 쌍극자 트랜지스터의 물성적 특성과 동작 특성을 학습한다.
제어공학
제어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제어에 쓰이는 수학적 기초지식 및 제어시스템 모델링 방법을 배운다. 제어시스템의 안정도, 과도응답 특성 및 정상상태 오차를 시간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해석하고 설계하는 방법을 다룬다.
전력공학
송전선의 임피던스, 캐패시턴스 및 전압, 전류관계를 배운다. 발전기, 변압기, 선로, 부하 등 전력계통 요소의 모델링 기법을 익히고 중성점접지 등 전력계통에 관련된 기본적인 주제들을 이해하고, 3상 평형 시 전력계통의 정적 해석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전자회로
반도체를 이용하는 MOSFET의 기본 동작원리와 회로구성 및 회로해석 방법 등을 다루고, MOSFET을 이용한 CG, CS, CD 증폭기에 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관련된 기본 회로들의 설계, 해석에 관한 내용을 주로 다룬다.
디스플레이공학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현하기 위한 색이론 및 시각인식 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응용전자회로
MOSFET 이용한 실무적인 회로설계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차동증폭기, OP-Amp 내부 회로에 관하여 다룬다. Pspice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관련된 회로 지식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응용반도체공학
반도체의 특성과 도핑의 기본 원리를 학습하고, 반도체 소자의 제작과 동작 원리를 학습한다. 이를 기반으로 메모리 소자, 디스플레이, CPU 등 반도체 소자의 응용 분야를 학습한다.
실무프로젝트1
재학기간 중 산업체 등에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진행한 학습 및 연구 등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습득한 학습자의 실무 역량을 평가를 통해 학점으로 인정한다.
실무프로젝트2
재학기간 중 산업체 등에서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진행한 학습 및 연구 등을 통해 산업현장에서 습득한 학습자의 실무 역량을 평가를 통해 학점으로 인정한다.